요즘 뉴스 및 각종매체를 보면 "디젤차를 사면 안되는 이유" " 디젤차 사면 호구" ... 디젤차 죽이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클린 디젤의 몰락과 그 이유...
불과 10년전만해도 디젤차는 성능과 연비가 좋고 클린 디젤이란 친환경 타이틀로 큰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외면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문제와 대기오염
디젤차는 과거부터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등을 발생시켰습니다. 대기오염 문제와 환경보호 의식의 증가로 인해 정부는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차의 대두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등 친환경차가 급부상하면서 디젤차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도 이에 힘입어 친환경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경제성
하이브리드 & 전기차 등장하면서 디젤차의 연비 우위가 점차 줄어들고 경제적 측면에서도 소비자들이 다양한 차량 옵션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정책적 제한과 규제
우리나라는 현재 5등급 디젤 차량은 서울 4대문안에서 운행이 제한하고 있으며 12월~3월까지는 공휴일에만 운행 할 수 있습니다. (5등급 차량 DPF 장착시 운행가능)
2025년 부터는 4등급 디젤 차량도 (2009년 이전 생산 차량) 위와 같은 제제를 받으며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시행한다하였습니다.
안전성 문제 국내 디젤차 화재 및 유럽에서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면서, 디젤차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고는 소비자들의 불신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국내 및 유럽에서는 디젤차 판매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4년애 디젤차 사면 정말 호구 되는 것일까?
"야 2024년에 디젤차 사면 개호구 되는거냐?" 라는 친구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비싼 하이브리드 & 전기차 (경제성) 하이브리드 & 전기차는 아직 동급 디젤차량 보다 훨씬 비싸며 연간 주행거리에 따라 몇년안에 손익 분기점을 넘기는지 계산 해봐야 합니다.
서울시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서울시는 ‘더 맑은 서울 2030’ 종합계획을 통해 2025년부터 4등급 차량의 사대문 안 운행을 제한하고 2030년에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2030년에 서울 전역에 운행제한되는 차량도 4등급 차량이다.(2009.09 이전 제조 차량) 3등급 차량은 더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판매 금지 아직 10년 남았다 디젤차 판매 금지는 2035년이다. 고로 최소한 2035년까지 앞으로 10년은 더 탈 수 있다는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위와 같은 이유로 친구에게 디젤차를 구입해도 괜찮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신차를 사도 상관은 없으나 요즘 디젤차 인기가 없어서 감가폭이 크니 신차보다는 3년 미만의 중고 디젤차를 권유 했습니다.
여러분은 2024년에 디젤차 구입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상 차랄라 2%였습니다.
차랄라를 읽으면서 좋았던 점이나 아쉬웠던 점, 하고 싶은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독자님들의 소중한 의견이 더 나은 차랄라를 만들어 가는데 큰 힘이 됩니다🥰